무도색을 대구간선버스도색으로 수정하였죠. 2017년 5월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모터쇼인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2017년 11월 24일에 정식으로 출시하였죠. 런치 커스터머는 부산 대진여객과 동남여객이었죠. 현대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 F/L을 기초로 하여 조립하였죠. 좌석은 현대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 F/L 표준형과 다른 27석이었죠. 한 번 충전하였을 때 항속거리는 128kWh 배터리 159km와 256kWh 배터리 319km가량 주행이 가능하였죠. 플러그인식 순수 전기버스 차량과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차량 2가지가 있죠. 수소연료전지버스는 정식 출시 전에 2018년 동계 올림픽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에서 장애인과 노약자를 수송하는 강릉역 ~ 강릉올림픽파크 간 셔틀버스로 운행한 바 있죠. 2018년 10월 22일에는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인 울산여객에서 전국 시내버스 최초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현대자동차에서 임차해 시범 운행하였으며, 시범운행을 마치고 현대자동차에서 반납한 후 2019년 12월에 일렉시티 FCEV 3대를 정식으로 도입하였죠. 2018년 11월에는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일렉시티를 투입해 서울버스에 투입되었죠.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인 삼성여객에서도 현대자동차에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임차하여 2019년 8월 30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반납할 때까지 1년 동안 405번에서 주중 한정으로 시범 운행한 적이 있으며, 내곡동공영차고지 북쪽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 설치된 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하였죠. 2020년 6월은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공장이 있는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도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어 전주시의 시내버스에서도 FCEV가 운행 중이죠. 현재 일렉시티를 가장 많이 운행 중인 지역은 부산이었죠. 2021년 10월은 일렉시티 후기형이 출시되었죠. 현재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특/광역시에서 일반 일렉시티가 운행중이죠. FCEV는 모든 특/광역시에서 운행 중이죠. 울산광역시에서는 일렉시티 FCEV만 운행 중이며,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는 울산광역시의 일부 마을버스 노선에 투입 중인 카운티 뉴브리즈 전기버스가 전부였죠. 2019년에는 현대자동차 최초의 양산형 굴절버스 모델을 출시하였으며,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하였죠. 경제성을 이유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지 않는 몇몇 소규모 기초자치단체에서도 천연가스버스의 대안으로 플러그인 방식 일렉시티를 도입하고 있죠.
'버스모형·전개도·사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일렉시티2 EV 전기버스 - 블랙핑크 리사 Ver. (0) | 2023.07.07 |
---|---|
2021 현대 일렉시티 EV 전기버스 - 블랙핑크 리사 Ver. (0) | 2023.07.07 |
협진운수 105번 9380 2018 현대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 1차 F/L CNG (0) | 2023.07.06 |
대전버스 603번 2604 2017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 1차 F/L CNG (0) | 2023.07.06 |
대전버스 314번 2257 2022 현대 일렉시티2 EV 전기버스 (0) | 2023.07.06 |